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 home
  • 교육과정
  • 교과목 해설

교육과정

교과목 해설

<번역학영역> Translation Studies

현대번역이론연구

번역이론은 프랑스 통번역대학원에서 의미론이 제창된 이후 꾸준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우리와 같은 한자문화권의 일본에서도 여러 가지 번역이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시도 되었다. 이 강좌는 전통적인 번역이론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학제적 방식으로 새롭게 연구된 언어학 등을 포괄적 학습함으로써 서구의 번역이론을 한문고전번역에 적용 도입시켜서 한문고전의 번역상에 조우하는 문제점의 파악과 해결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ories of Modern Translation;
Theories of translation have been developing since French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School (ESIT) proposed semantics. Such a country in Confucian culture as Japan has also attempted to apply different theories to translation. This course examines both traditional theories of translation and the new field of linguistics. It discusses problems in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future application of western theories of translation to our Chinese classics translation.

 

번역사연구

번역사연구는 번역의 시대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학습과 탐구를 통하여 현재에 있어서 번역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체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번역은 문화를 소통시키는 작업이며, 한문고전의 번역은 전통과 현대를 소통시키는 중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한문고전의 번역자는 전통을 현대에 전달하는 문화전달자라고 할 수 있다. 번역사에 대한 학습과 연구는 문화전달자인 역자들이 자신의 역사적 기능과 책무에 대한 인식의 제고를 통하여, 한문고전번역의 능력을 키운다.

History of Translation;
This course discusses current values and future development of translation by exploring the roles and functions of translation. In general, translation aims at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In particular,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has its function of linking present to past. In this sense, translators of Chinese classics can be said as intermediaries of culture, who help transfer tradition to the present society. This course helps translators understand their historical role and responsibility, and further improve their translation capabilities.

 

한국번역사특강

한문번역의 역사적 과정을 고찰하고, 번역이 가지는 시대별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한문고전의 현재적 의미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해한다. 특히 조선시대 이후 현토, 언해, 번역 등 한문의 이해 방법이 확장되어 가는 과정에서 번역의 역할과 기능을 탐색하고 이른 통해 현재의 한문고전번역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해한다

History of Korean Translation;
This course discusses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s translation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ranslationin different periods, and the current value of classic translation. In particular, it discusses the ways in which Chinese classics were understood and studied in Ko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Korean annotation and translation.

 

번역평가연구

번역평가는 텍스트의 내용이 출발어와 목표어에서 등가성을 어떻게 유지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물론 번역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오류에 대한 접근도 평가의 대상에 포함되지만, 번역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문화체간에 소통을 의미하므로 출발어와 목표어의 등가성 문제는 평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번역평가연구는, 텍스트에 따라 어떻게 번역의 등가성이 획득될 수 있는가를 탐구하고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평가의 구체적인 방안에 도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 연습을 통해 한국고전번역의 평가능력을 함양한다.

Translation Evaluation;
Translation evaluation questions of the proximity of original texts to translation texts. Even though it includes finding errors in translation, yet the proximity should be the key element in evaluation, considering that translation primarily aims at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By discussing the ways to translate original texts in close proximity to original meanings, this course develops the criteria for translation evaluation and applies it in our evaluation on Chinese classic translation.

 

 번역기획론

한문고전번역은 일반적인 번역과는 달리 국가의 필요에 의해서 대규모로 추진되는 국가사업이다. 따라서 한문고전번역은 공공성이 매우 강한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대규모의 국가번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기획이 필요하다. 번역기획론에서는 국가번역의 특징, 집단번역의 방식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아울러 국가 번역의 수행 과정에서 나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Translation Plan;
Strong public purposes are characteristicsof Chinese classics translation, which is largely sponsored by the government. This cours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sponsored translation projects and practical methods for group translation. It analyzes problems raised in such government-sponsored projects.

 

번역기법론

한문고전은 매우 다양한 장르의 텍스트가 존재한다. 번역기법론은 장르별로 한문의 특징에 대하여 학습하고 그 특징에 따라 각각에 알맞은 번역기법을 개발하는 방법을 익힌다. 특히 승정원일기와 같은 대형의 국가기록물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를 통하여 번역 대상 텍스트에 대한 분석과 그에 적합한 번역 기법을 개발하며, 이를 다시 현장의 번역에 적응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 · 학습한다.

Translation Technique;
This course examines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in Chinese classics and translation techniques proper to it. It takes a case study approach by focusing on Diaries of S?ngj?ngw?n. Students will analyze this specific genre and develop a proper translation technique for the material.

 

 

번역학특강

번역학은 최근에 성립한 학문분야이다. 번역학특강에서는 번역학에 대한 일반적 이론을 이해 학습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한국고전번역의 학문적 의미와 정치사회적 기능에 대하여 탐구한다. 특히 한문고전의 번역이 가지는 일반성과 특수성에 대한 심층적 접근을 통하여 고전번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이를 통해 한문고전번역의 방향성을 정립하여 역자로서 갖추어야 할 올바른 번역 가치관을 배양한다.

Advanced Issues in Translation Studies;
This course examines general theories regarding translation studies and discusses values and roles of Chinese classics translation in Korea. It explores commonalities and peculiarities of Chinese classics translation, and helps students develop their sense of value for translation.

 

한국경학자료표준번역연구

경학(經學)은 유교 경전의 의미를 탐구하는 학문으로, 조선시대의 정치ㆍ문화ㆍ사상에 근본 원리를 제공해 왔다. ‘대학’ ‘중용’ ‘논어’ ‘맹자’ ‘서경’ ‘시경’ ‘역경’ ‘예기’ ‘춘추’ 등에 대한 조선시대 경학의 성과를 집대성한 ‘한국경학자료집성(韓國經學資料集成)’을 텍스트로 하여, 유교 경전 중 우리나라의 고문헌에서 빈번하게 인용된 내용들에 대해 표준번역을 시도한다.

Standard Translation of Korean Confucian Classics;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which explore the meanings of Confucian texts, have provided the fundamental ground for politics, culture and ideology of Chos?n Korea. Focusing on the Compilation of Korean Confucian Classics, this course develops standard translations of the most often-quoted Korean archives.

 

한국사료표준번역연구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등 한국사의 기본 사료로 널리 활용되는 고문헌 중에서 인용 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해석상 이견이 있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국역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표준번역을 시도한다.

Standard Translation of Korean Historical Materials;
Focusing on History of Three Kingdoms, Lost History of Three Kingdoms and History of Kory?, all of which are frequently quoted and yet have many disagreements in translation, this course examines the translations of Korean historical materials and finds their errors and problems

 

자서번역연구

한자의 자형과 발음 및 뜻을 풀이한 자서(字書)는 한대(漢代)의 ‘설문해자(說文解字)’ ‘이아(爾雅)’ ‘석명(釋名)’ 등 이후 청대(淸代)의 ‘강희자전(康熙字典)’ ‘경적찬고(經籍纂?)’ 등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자서들은 문자학 연구의 산물로서 정확한 한문 번역에 큰 도움이 되므로, 각 시대의 주요 자서들을 선정하여 번역한다.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studies explore the forms, sound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out history, they have developed various dictionaries, including Shuowen jiezi and Kangxi cidian. These dictionaries are very useful in correct translations of Chinese classics. This course selects major dictionaries to translate them.

 

한시번역연구

한시는 ‘시경(詩經)’ 이래 한문학의 중심이 되어온 장르이다. 그러나 독특하고 다양한 형식과 함축적이며 심미적인 표현 등으로 인해 특히 번역하기가 까다롭다. 한시 번역에 따르는 제반 난점(難點)들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명시들을 대상으로, 역대 제가(諸家)의 주해(註解)와 국내외의 번역 성과들을 참조하여 정확하면서도 섬세한 번역을 실습한다.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Since the appearance of Shi Jing, Chinese poetry has claimed its principal status in Chinese classic literatur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translate them, because of their unique styles, various forms and implicit meanings. Focusing on famous poems of China and Korea,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translations and annotations on them in Korea and abroad, and practices correct translation.

 

특수자료번역연구

지금까지 고문헌의 번역은 문학과 역사와 철학 등 주로 인문학에 포함되는 자료들에 치중하였다. 따라서 범위를 확대하여, 천문수학ㆍ의학ㆍ농학 등 자연과학 분야, 음악과 서화 등 예술 분야, 복식(服飾) 등 풍속 분야, 사대교린(事大交隣) 문서 등 정치외교 분야와 같은 특수 분야에 속하는 다양한 자료들에 대해서도 번역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번역 경험을 갖추게 한다.

Translation of Special Materials;
Translations of archives have been heavily focused on the humanities field,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our translation into the natural sciences (astronomy, medicine and the science of agriculture), customs, politics and diplomacy. This course practices translations of various materials and helps students improve their knowledge and translation experiences.

 

초서연구

초서는 고전 문헌의 일차 자료를 해독하고, 교감과 정본 작업을 위해서도 반드시 학습해야 한다. 초서학습을 위해 초결가, 초천자, 서보 등의 기본서를 익히는 것은 물론 초서로 되어 있는 일부 정형화 된 간찰 등의 학습을 통해 초서의 구성과 고전문헌의 한 부분을 익히는데도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초서로 된 글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실기와 함께 학습하여 다양한 문헌자료를 장악할 수 있는 능력에 도움을 준다.

Study in Cursive Writing;
Understanding of cursive writing style is crucial for our reading of primary materials and the process of revision and correction of texts. This course examines the standard forms of cursive writingand practice to write i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various archival materials.

 

이두연구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吏讀)는 조선시대에 주로 이서(吏胥)들이 작성한 행정 문서에서 광범하게 사용되어 왔다.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유서필지(儒胥必知)’ 등 이두에 관한 참고문헌과 각종 문서들을 연구함으로써, 이두문을 정확하게 번역할 능력을 갖추게 한다.

Study in I-Du;
The I-Du was a way of writing Korean through using sound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It was widely used in official documents, especially by lower officials in the Chos?n society. This course examines references and materials relevant to the I-Du and improves translation capabilities.

 

고문서연구

고문서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고받은 공사(公私)의 문서로, 우리나라의 경우 1910년 이전까지 작성된 문서를 뜻한다. 이러한 고문서는 조선시대의 역사와 문화, 사회 연구의 일차 자료로서 매우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나 특유의 용어와 투식을 취하고 있어 해석하기 쉽지 않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고문서를 대상으로 정확한 판독과 역주를 시도한다.

Study in Archives;
Archives include public and private documents, especially those written prior to 1910 in the case of Korea. Even though Korean archival materials are crucial in our understanding history, culture and society of Chos?n Korea, it is very difficult in translating them because of their peculiar words and forms.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archival materials and practices precise translations and annotations.

 

언해연구

훈민정음 창제 이후 불경(佛經), 경서(經書), 문학서 등 다양한 한문 문헌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언해(諺解)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 중 국문학사상 최초의 번역시집이자 대단히 높은 번역 수준을 성취한 ‘두시언해(杜詩諺解)’ 등 문학서의 언해를 주로 연구함으로써,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국역의 성과를 계승한다.

Study in Korean Annotation (?nhae) on Chinese Classics;
Since the invention of Hang?l, various Chinese classics, including Buddhist scripts, Confucian texts and literary writings, were translated in Korean annotation (?nhae). Focusing on Korean Annotation of Du Fu’s Poem, which is also the first translation of poem in Korean language, this course examines translation literature in the Chos?n period.

 

명역연구

기존의 국역서 중 원문을 정확하고 충실하게 번역하면서 아울러 현대 한국어를 유려하게 구사하여 국민 대중이 쉽게 읽을 수 있게 한 점에서 귀감이 될 만한 업적을 골라, 그 번역의 성과와 장점 등을 구체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번역 수준의 향상을 도모한다.

Study of Masterpieces in Translation;
This course examines masterpieces in translation, which did not only achieve precise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but also wrote in beautiful Korean to make it available to general audiences. It discusses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o improve our translation quality.

 

중국사료표준번역연구

‘사기(史記)’ ‘한서(漢書)’ 이하 ‘명사(明史)’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이십사사(二十四史) 중 우리나라의 역대 고문헌에서 빈번하게 인용된 부분들과 고대 이후 조선왕조까지의 한중관계사 연구에서 중요시하는 자료들을 대상으로 표준번역을 시도한다.

Standard Translation of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mong the twenty-four official records of history of China, this course selects the most often-quoted parts in Korean archives or those relevant to the Chinese-Korean history, and practice standard translation.

 

한문 문헌의 언해 · 현토연구

고전 자료 가운데 언해와 현토로 가공되어 있는 자료가 많다. 선인들은 한문 전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확정하기 위해 언해와 현토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인들이 남긴 언해와 현토를 익히는 것은 곧 선인들이 고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이해하는 지름길이 된다. 언해·현토의 이해함으로써 향후 고전을 번역하고 정리하는 이러한 방식을 현재의 시점에서 발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Korean Annotation (?nhae) and Usage of Particles (hy?nt’o) onChinese Classics;
Korean scholars had used the annotations and particles in order to analyze and clarify the meanings of Chinese classics. Therefore, knowledges of the annotations and particles are the key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Korean scholars read Chinese classics in traditional times. By exploring the annotations and particles, this course discusses how to use them for contemporary translations of old documents.

 

초서자료강독

초서로 기록된 선인들이 남긴 문집의 초고, 선인들이 주고받은 다양한 간찰자료, 관찬과 사찬으로 남긴 사료, 그리고 각종 초서로 되어 있는 고문서를 정확하게 읽고 이를 번역하기 위한 탈초를 중심으로 연습을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초서의 형태와 투식을 학습하고 실제 자료를 탈초한다. 이러한 탈초의 실제학습과 연구를 통해 이를 번역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도움을 준다.

Readingsof Cursive Calligraphy;
This course practices to read collection drafts, letters, public and private archives, written in cursive styles. By practicing to write cursive styles as well, it helps improve our translations of materials written in cursive styles.

 

번역문교열윤문실습

완정된 번역본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교열과 윤문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학술번역은 물론 대중적 번역을 위해서도 필요한 과정이다. 일차 번역 원고에 대한 교열 및 윤문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가 하는 과정과 방법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직역과 의역의 문제, 개념어와 관용어 등의 개념어를 번역문에서 처리하는 문제, 독자의 수준에 따른 번역 수위를 다르게 설정하는 문제 등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학습한다.

Proofreading and Polishing Practice;
Proofreading and polishing are a crucial process in scholarly translations as well as in public translations. This course practices how to proofread and polish rough drafts in translation, by discussing various issues in translation, including differences between literal translation and liberal translation, translation of key concepts and idioms, accommodation of translation to the audience and so forth.

 

한문고전 정본화 실습

한문 고전의 정본작업은 고전 텍스트를 표준화하여 번역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문헌학적 관점에서 고전의 이본과 판본 사항 등을 조사하는 일, 작성 연대의 선후를 밝히고 기준 본을 확정하는 일, 기준 본을 중심으로 여러 이본과의 차이를 서술하고 정리하는 일, 이본 사이의 글자를 대조하여 차이를 밝히고 합리적 기준에 따라 교감을 수행하는 일은 고전 문헌의 확정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사건별ㆍ시기별ㆍ문체별로 문헌의 개별 문서를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전체 자료를 구조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학술 번역을 위한 기초문헌을 확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Practice of Standardization of Chinese Classics Texts;
Standardization of Chinese classics text is very important for translation and scholarly research. Itincludes philological examination of various editions, clarification of the sequence of different editions, development of the standard edition, analyses of discrepancies among different editions, proofreading and correction. The standardization also requires in arranging each material according to events, period and writing styles. This course examines such processes and helps standardize Chinese classics texts for further scholarly translation.

 

논문번역연습

한문고전번역학에서는 학위를 취득하기 위한 조건으로 논문과 번역을 모두 허용한다. 논문은 여타의 학위과정에서 요구하는 일반적인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며, 번역은 학술번역으로서의 조건과 독창적 견해의 연구 성과가 포함된 학술해제가 기본적으로 첨부되어야 한다. 이 과목에서는 한문고전번역학의 학위취득에 필요한 논문의 주제 선정부터 주제에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물론이고, 학술번역이 가지는 기본 조건에 대해서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sertation Writing (Translation) Practices;
Our program allows students to choose dissertation writing or translation for their degree. For dissertation writing, students are asked to follow all the general requirements, which are same to any other degree program. For translation, students are asked to develop scholarly translation and annotation, including the author’s original interpretations and research. This course helps students to choose their dissertation topic and develop their research, in addition to discussing basic requirements for scholarly translation.

 

당송팔가문연구

의 문장은 한문 문화권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성취를 내었고, 이후 한자문화권 각 나라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구양순과 유종원과 같은 당송의 八大家 등이 지은 산문문장의 수준은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 한문학 작가에게도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특히 이들의 문장을 쏩아 문장 학습의 교범으로 삼는가 하면, 이를 보받아 자신의 생각과 사상을 문장에 담아 내었다. 한국 문집에 남아 있는 문장 중에서 당과 송의 팔대가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한국 문집에 수록된 산문 문장을 학술적으로 정확하게 번역하기 위해서는 이들 문장의 학습이 필수적이다.

Literary works of the Eight Mas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Literary work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made the most noteworthy achievements, and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countries sharing the classical Chinese culture. Especially the prose written by the Eight Mas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including OuyangXun and Liu Zhongyuan was so great that it had a tremendous influence on the writers i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not only of China but also of Korea. Their exemplary writings were included in textbooks for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were considered as models to be followed when expressing one’s ideas and thought. Since many of the collected writings in traditional Korea were under great influence of the Eight Mas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it is crucial to study their writings in order to produce correct scholarly translations of the prose in the Korean collected writings.

 

 

<문헌학영역> Philology

문헌학연구

고문헌에 대한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접근을 통하여 문헌의 생성과 발달과정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나아가 한국고전문헌의 성격과 특징에 대하여 문학, 역사, 철학, 서지학 등을 융합한 학제적 방식으로 접근하여 한국고전번역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획득하고, 나아가 고문헌에 대한 통섭적 능력을 배양한다.

Study in Philology;
This cours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philology.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cluding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d bibliography, it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ics and improves basic knowledge for translation of classic materials.

 

전적정리개론

전적정리개론은 고전문헌의 정리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이다. 편목, 수집, 영인, 교감, 조판, 색인, 표점, 목차, 해제, 번역, 주석 등 전적정리의 모든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고전적의 정리 및 번역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갖도록 한다. 특히 우리나라 고전적의 규모와 특징에 알맞은 정리 방법에 대한 학습을 통해서 현정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Introduction to Records Management;
This course provides an introduction to records management. It examines the entire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compilation, collection, reprint, proofreading, index, punctuation, catalogue, bibliographic explanation, translation, and annotation. It aims at improving our understandings of archives management and translation. Close attention will be paid to understanding of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ves and developing practical skills for records management.

 

고문헌편찬연구

전통시대에 편찬된 정법류와 유서류 도서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전통시대 문헌편찬방식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조선시대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 각종 국고문헌과 동국문헌비고 등 유서의 성립과정과 편찬 목적 등을 깊이 있게 학습하여 고문헌 편찬에 대한 안목을 높이고, 그를 통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문헌편찬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배양한다.

Compilation of Old Documents;
This course examines the compilation system of Korean archival materials, especially those published in traditional periods. By paying special attentions to the process and purpose of publication of state documents, such as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n Dynasty and Diaries of S?ngj?ngw?n, it improves our understanding of compilation of Korean archives.

 

색인론특강

색인은 정보 검색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해 온 방식이다. 그러나 현재는 고전문헌DB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고, 또 컴퓨터의 성능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으며, 따라서 문자열의 단순 검색이나 일정한 조건을 제시한 DB 검색은 이제 대부분의 색인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색인이 유효한 것은, 텍스트에 포함된 어휘의 의미 질량을 측정하여, 키워드를 생산해 내는 것은 반드시 색인자의 안목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색인론은 색인에 대한 방법론 뿐 만 아니라 나아가 키워드를 통한 시소러스의 구성과 이를 바탕으로 한 DB에서 온톨리지의 구현에 이르기까지 색인의 전반적인 과정을 심도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설된 것이다.

Methods in Index;
Making index has been the most common way of searching information. However, database searches are now replacing with index, as database for archives enables us to search information more easily and fast by using keywords and subjects. Nonetheless, keywords and subjects are selected and categorized only through the eyes of experts who can evaluate qualities and quantities of vocabularies in the given text. In this sense, index is still useful and important. This course examines the whole process of index, including methods for making index, finding keywords and thesaurus, and further building database.

 

해제초록방법론

해제와 초록은 전적정리의 한 단계이자 목표이다. 이 강좌에서는 해제와 초록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전통시대는 물론이고 현재까지 간행된 중요한 해제와 초록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하여 각 해제 및 초록이 가지는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한다. 나아가 현재 공사의 각 기관에서 간행된 해제와 초록의 만족도 등 이용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여 현행 해제와 초록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단순히 기존의 방식에 따른 해제 및 초록 작성법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법론의 해제 및 초록을 제안하는 창조적인 학습을 도모한다.

Research Methods in Annotation and Excerpt;
This course studies basic knowledge of annotation and excerpt, and discusses their roles and functions through comparisons of traditional annotations to contemporary ones. It further examines problems of annotations and excerpts through inquiring users and improves methods in making annotations and excerpts.

 

한국전적목록연구

한국전적목록연구는 전통시대 우리나라에서 성립된 전적 목록을 중국의 전적목록과 비교 연구하여 한국전적목록의 성격과 특징에 대하여 학습한다. 나아가 해방이후 각 기관에서 만들어진 전적목록을 비교 검토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이를 다시 전통시대 전적 목록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한국전적목록의 변천 과정과 그 득실에 대하여 학습한다. 나아가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전적목록을 제안하고 아울러 한국전적에 가장 알맞은 목록의 형태를 도출하는 학습을 수행한다.

Catalogues of Korean Archives and Records;
This course examines characteristics of catalogues of Korean archives and records through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Chinese materials. It examines various catalogues made in the post-Korean War period and discuss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one. In addition, by comparing these modern catalogues with traditional ones, it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catalogue of Korean archives. It aims at developing a useful example of cataloguing Korean archives.

 

교감학연구

교감은 고전의 번역과 정리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다. 특히 승정원일기와 같이 사본으로서 고정화 되지 못한 텍스트는 반드시 교감을 거쳐서 정본으로 확정된 연후에야 정확한 번역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감을 통해 원전에 대한 학술적 이용이 가능하다. 본 과목에서는 교감학의 일반 이론을 학습하고 나아가 한국의 고전적에 대한 교감실습을 통하여 실무 적응 능력을 배양한다.

Comparative Revising and Editing Practices;
The process of revision and correction of texts is the basic stage for Chinese classics translations and management. Translation of Diaries of S?ngj?ngw?n, for example, requires a text analysis before verifying a correct edition, since the Diaries includes manuscripts, not revised editions. The process of revision and correctionof texts is also necessary for scholarly quotations and research of original texts. This course examines general theories of revision and correction, and further practices to analyze texts of Korean classical materials.

 

주석학연구

한국고전문헌의 교감, 표점, 번역, 정리에 필요한 주석의 작성 방법을 학습한다. 일반적인 번역에 있어서 주석은 단순히 본문의 전거를 밝히거나 본문에서 의미 전달이 미흡한 부분을 보족하는 차원에서 실시되었다. 하지만 앞으로 한국고전문헌의 교감이나 표점, 번역에 있어서 주석은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는 학술적 차원으로 발전심화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과정에서는 각종의 텍스트에 대한 주석 연습을 통하여 한국고전번역학자로서의 실무능력 배양에 중점을 둔다.

Practices in Annotative Bibliography;
This course studies making commentaries, which requires for the processes of revision and correction, punctuations, translation and management. Generally, commentaries are used in the case of quoting references or adding supplementary explanation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mentaries into providing various interpretations for the given texts. This course helps students improve their practical skills by practicing to make commentaries on different texts.

 

판본학연구

판본학은 목록학, 교감학과 함께 서지학의 삼대분과 중의 하나이다. 서책의 물리적 기초라고 할 수 있는 판본은 서책의 간행 계통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그 서책이 가진 태생적 한계를 표현한다. 따라서 번역 대본의 선정이나, 정리 대상을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강좌에서는 역사적으로 유래가 깊은 중국 판본학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판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그것을 우리나라 고전적에 적용시키는 능력을 배양한다.

Study in Edition Analyses;
Along with catalogues and revision and correction, edition analysis is one of the three fields in bibliography. Since editions indicate the development of publications of the given material, they should be carefully examines to select texts for translation and management. This course examines edition analyses in China and discusses how to apply them to Korean classics.

 

표점방법론연구

표점은 이른바 단구, 구두로부터 발전되어 온 것으로 중국에서 25사 표점교감본이 완성되면서 크게 발전하였다. 따라서 현대에 있어서 표점은 고전문헌을 학술적으로 정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전통시대에는 현토의 방법을 통하여 중국고전을 이해하고 습득하여 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문장의 구조를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다만 구절간의 관계만을 간단한 한글 어미로 표현하는데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의 문헌정리를 보면 현토의 방식보다는 주로 다양한 부호를 사용한 표점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표점방법론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표점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표점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Study of Punctuation Methodologies;
Punctuations became the most principal way of scholarly management of Chinese classics. In traditional Korea, the use of particles (hy?nt’o) was adopted in the studies of Chinese classics. However, it was only limited to make connections between phrases and clauses with ending words in Korean, but failed i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sentences. Therefore, contemporary punctuations on classic materials are using various markers, instead of adopting the use of particles. This course examines these changes in punctuation and improves our practical skills for it.

 

문자학특강

문자학특강은 한자의 발생 원리와 형성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한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한자 부수에 대하여 형·음·의를 문자학적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 부수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자의 구조에 해단 이해를 심화시키고, 글자의 본래 의미와 새롭게 파생된 의미의 갈래를 학습할 것이며, 이를 한문고전의 번역에 적용시키기 위한 기본적언 방편을 연구 학습한다.

Advanced Issues in the Studies of Chinese Characters;
This course improves ou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examining their origins and development. First, it examines forms, sounds and meanings of classifiers to understand their origins. It further explores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original and derivative meanings, and discusses how to apply them to our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동아시아On-Line한문고전자료활용

동아시아 학술원에서 구축한 한문고전자료 DB의 활용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동아시아 학술원은 ‘조선왕조실록’, ‘경국대전’ 등 그동안 국내에서 개발된 모든 고전문헌 DB를 수집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특히 존경각에서는 2004년부터 대학, 논어, 맹자, 중용 및 시경과 관련한 한국경학자료집성 DB를 구축하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을 활용하여 정보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EAs-NET을 구축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존경각 소장도서중 5,700여건의 서지사항을 표준화하여 존경각 고서서지DB 구축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다양한 온라인한문고전자료의 이용법을 학습하여, 번역실무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설된 것이다.

Online Archives for Chinese Classics in East Asian Countries;
This course practices to use the databases for Chinese classic materials produced at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The Academy makes various kinds of databases for classic materials available online. In particular, Library of Chongy?ng has held the database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Confucian Classics since 2004 and established EAS-NET in order to facilitate information exchanges for scholarly research. In addition, it standardized the catalogues of 5,700 archives and developed their databases. This course practices to use various online materials and improve our translation of classic materials.

 

중국전적목록연구

전적목록은 도서를 이해하는 기본적인 방식이다. 중국전적목록은 한서 예문지가 나온 이후 수서 경적지 등 아주 일찍부터 목록이 발달하였다. 이 강좌에서는 중국 전적 목록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목록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현대에 발간된 각종 목록에 까지 두루 살펴보아 목록의 변화과정을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적 목록의 문제점에 대하여 연구하고, 일정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Catalogues of Chinese Archives;
This course provides an introduction to catalogues by examining Chinese catalogues, and discusses their development through examining traditional catalogues as well as contemporary ones. It also discusses problems in catalogues of Korean archives.

 

공구서특강

공구서는 한문고전에 접근하는 필수적인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어휘사전을 비롯하여, 인명·지명 등 분과사전은 물론, 목록, 색인, 해제, 그리고 전통시대에 생산된 字書, 韻書, 類書에 이르기까지 현재까지 생산되고 이용된 각종 공구서에 대한 성격 및 시원을 비롯하여 접근방식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번역현장에서 조우하는 각종의 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을 배양한다.

Advanced Issues in References for Chinese Classics;
References are the essential tools in the studies of Chinese classics. They include basic dictionaries for vocabularies, names of people and places, catalogues, index, and annotations. This course examines these references focusing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origins, and discusses how to use them for our translation.

 

한국문집연구

우리 선인들이 남긴 문집 중에 주요한 것을 선별하여 그 유형과 체제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에 활용한다. 이를 통해 한국 문집의 기본 형식을 이해하고 문집 안에 담겨있는 각종 한문학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한문학 작품에 대한 비평의 기초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선인들의 사상과 철학을 이해함으로써 현재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Korean Anthology;
This course selects major anthologies among Korean writings and analyzes their styles and structures. It discusses the forms and styles of Korean anthology, and improves our capabilities of evaluating Korean classic literature. It also reexamines our traditional thoughts and philosophy from the present perspectives.

 

한국사료연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및 각종 『등록』류와 같은 사료는 한국의 고전 문헌 가운데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주요 사료를 익힘으로써 이를 이해하고 탐구하는데 기초를 다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전 사료 속에서 현재시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화적 자산을 재구성하거나, 현재 화법에 맞게 학술적으로 재해석해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Korean Historical Materials;
Among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of Korea, this course focuses o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n Dynasty and the Diaries of S?ngj?ngw?n, and examines their significance in historical analyses. It discusses the ways to find our cultural assets from historical materials and to translate them for contemporary readers.

 

한국경학자료연구

경학은 전통 시대의 지성사와 학술사에서 거대한 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경학의 이해와 탐구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학문분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한문 전적의 상당한 부분이 경학과 관련되어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경학에 대한 연구와 번역은 필수적이다. 사서와 삼경 및 심경과 근사록을 중심으로 한 선인들의 각종 담론 기록과 주해 자료 등은 번역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전통과 현대적 시각 등 다양한 시선으로 자료에 접근함으로써 고전 자료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감각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Korean Confucian Classics;
Korean Confucian classics contributed tremendously to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 history of traditional Korea, and still have significant values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Korean classic materials are related to Confucianism, it is crucial to understand and translate Korean Confucian classics. By focusing on discourses and annotation on Four Books, Simgy?ng, and K?nsarok, this course helps improve our understanding Korean Confucian classics.

 

한국고문서이해

고문서는 전통 시대를 살았던 선인들이 남긴 다양한 생활상에서의 기록이다. 인물 개개인의 일상과 그들의 인생 경로의 마디마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고문서의 내용과 흔적은 선인들이 남긴 각종 문헌 기록에 녹아들어 선인들의 생활 모습과 실상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기록이다. 선인들의 삶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하고 전통 시대에 존재하던 문서의 종류 및 고문서의 투식과 기본 체제를 학습하여 특수한 고문헌의 자료 번역에 도움을 준다.

Introduction to Korean Archives;
Archival materials help us understand daily lives of individuals who lived in the past. This course examines the styles and basic formats of archives, and discusses how to improve our translation of specific materials.

 

한국고문서특강

각종 고문서의 실물을 직접 견문하고, 고문서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여러 투식과 그 양상을 이해하고 해독함으로써 고문서의 양식이 시대마다 어떻게 변모해가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여러 문헌 기록들과 어떠한 자료적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고문서의 해독 능력을 기르고 고문서 속의 조각 형태의 문자 정보들을 재구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고문서의 이해를 통해 고문헌 연구에 활용하며 전통시대 선인들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을 준다.

Advanced Issues in Korean Archives;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archives and records, and discusses their different formats, styles and developments. It improves our readings of these archives and further develops ou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life styles in the Korean society.

 

중국한적자료특강

중국에서 저술된 각종 문헌 기록들을 조사하여 탐구한다. 한적 자료를 시대별 장르별로 일별하여봄으로써 중국 문헌 자료에 대한 개괄적 안목을 기르고 고전 학습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중국의 한적 자료와 한국의 한적 자료에 동질성과 차별성을 이해하고 중국 자료에 존재하는 독특한 어법 등을 학습하여 중국 자료에 대한 기본적인 해독 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을 준다.

Advanced Issues in Chinese Archives;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archives and records of Chinaand analyzes their features according to periods and genres. It improves our basic understanding of Chinese archival materials and discusses how to use them for our studies of Chinese classics. Through compar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archival materials of China and Korea, i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chives.

 

일본한적자료특강

일본에서 저술된 각종 문헌 기록들을 조사하여 탐구한다. 한적 자료를 시대별 장르별로 일별하여봄으로써 일본 문헌 자료에 대한 개괄적 안목을 기르고 고전 학습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일본의 한적 자료와 한국의 한적 자료에 동질성과 차별성을 이해하고, 일본 자료에 존재하는 독특한 어법 등을 학습하여 일본 자료에 대한 기본적인 해독 능력을 배양하는 데 도움을 준다.

Advanced Issues in Japanese Archives;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archives and records of Japan and analyzes their features according to periods and genres. It improves our basic understanding of Japanese archival materials and discusses how to use them for our studies of Japanese classics. Through compar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archival materials of Japan and Korea, i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rchives.

 

한국학술사개관1

한국학술사는 고전 연구와 번역을 위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부분이다. 고전문헌의 가치를 발견하고, 번역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각 자료의 독창적인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학술적 안목으로 접근해야 가능하다. 문학, 사학, 철학을 포괄하여 학술사의 전반을 개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고전 독해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학습하는데 도움을 준다.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I;
Understanding of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is essential for our research of classic materials. When selecting materials for transl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make a scholarly assessment about the originality andvalue of each material. This course examines the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and discusses how to use our knowledge of it for future translation of classic materials.

 

한국학술사개관2

현재 한국 인문 학계와 동아시아 인문 학계에서 주요 쟁점으로 되어 있는 논제들을 중심으로 학습하고 익힌다. 이 쟁점으로 부각된 논제들의 답을 고전 속에서 구해보도록 방법을 찾고 이를 집중적으로 연습한다. 또한 고전 속에서 논의되고 있는 여러 가지 담론들이 어떻게 현재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현재의 학술사와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 학습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고전 속의 주요한 담론들이 갖는 위상을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도움을 준다.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II;
This course examines major issues which are being discussed in the humanities field, and further understands them in the relationship to Korean classics. It explores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various themes and issues questioned in the classic texts, and discusses the relevance of such classics to present scholarly works. In this process, it helps students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classic materials.

 

서간문연구

서간은 지금의 편지를 말한다. 서간은 서(), 서신(書信), 간찰(簡札) 혹은 척독(尺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전근대 선인들은 서간을 주고받으면서 안부를 묻고, 학술토론을 하거나, 부탁과 청탁을 하며, 비밀스러운 내용을 담거나, 서로의 사랑을 주고받는데 사용하였다. 서간은 그런 점에서 실용문에 해당될 정도로 그 기능은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지닌 서간문은 그 격식이 상투적이기는 하지만, 간혹 형식에 메이지 않고 인간미를 풍부하게 담는 것도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집을 보면 서간이 없는 경우가 거의 없을 정도로 서간문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한국 문집의 이해와 정확한 번역을 위해서 서간문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Literary works of Seogan;
"Seogan" means letters in contemporary terms. "Seogan"was also called alternatively as "seo,""seoshin,""ganchal," or "cheokdok." People in the traditional era exchanged greetings, conducted scholarly discussions, asked for favors, conveyed secret messages, and expressed love, all through exchanging "seogan." In this respect we may consider"seogan"as belonging to practical writing. Letters with these various functions may often appear quite conventional in form, but we also frequently find ones that express humanistic spirits unrestricted by predetermined forms. This might be one reason why we seldom find collected writings in Korea that do not contain some letters, and we can say that studying letters is indispensable for correct understanding and translation of Korean collected writings.

 

 

<콘텐츠영역> Contents for Cultural Enterprise

주석 은행 DB 구축 특강

한문 고전의 독해와 번역에 필요한 주요 어휘와 전고 등을 선별하여 이를 DB화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DB자료를 실제 활용하는 방법을 연습한다. 형태별, 주제별로 주석 자료를 분류하고 고유 인식 좌표를 지정하여 계량화하는 방법과 개별 자료에 대한 서술 방식을 통일하여 표준화하는 방안에 대해 학습하도록 유도한다. 특히 일부 어휘와 전고는 전통 시대의 다양한 문화 현상과 인간 활동이 압축 투영되어 있는 문화 아이콘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주석 은행을 문화콘텐츠 은행으로 활용하면서 문화콘텐츠 개발과도 연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Database for Annotations on Chinese Classics;
This course examines databases of vocabularies and references for Chinese classics, and practices them in our translation. It discusses how to categorize annotations, quantify them, and standardize them in descriptions. Discussingthe values of vocabularies and references as cultural symbols, this course helps students develop contents for culture enterprises

 

문화콘텐츠 제작의 실제

한문 고전 자료에 담긴 풍부한 내용들이 오늘날 문화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 능력을 배양한다. 한문 고전에 대하여 어떠한 현재적 수요가 있는지 살피고, 그 수요에 부응할 만한 원천 자료로서 한문 고전의 가능성을 이해한다. 한문 고전을 기반으로 생산된 문화콘텐츠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그 구체적 과정을 확인하고, 관련 자료를 축적하는 방식을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한문 고전 번역이 문화콘텐츠 생산에 어떻게 기여하고 또 활용되는지 직접 체험하도록 한다.

The Production of Contents for Cultural Enterprise;
This course discusses how rich contents in Chinese classics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enterprises. It examines present demands on Chinese classics and the ways of marketing classic materials. It further analyzes specific cases that Chinese classics were used for cultural enterprises.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한문 고전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지속되어 왔고, 앞으로도 더 확장될 것이다. 그 수요의 성격 및 사회적 조건이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한문 고전 번역의 사회적 의의를 우선적으로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문 고전 번역이 지향해야 할 바를 보다 분명히 자각함으로써, 고전 번역을 통한 사회적 기여 방식을 모색한다. 이런 맥락에서, 번역된 한문 고전 및 미번역의 한문 고전을 포함하여 문화콘텐츠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은 대상을 선택해서 실제적인 콘텐츠화 작업을 연습한다.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Cultural Enterprises;
By analyzing social demands on Chinese classics and backgrounds of such demands, this course examines values and significance of Chinese classics translation. It discusses what Chinese classic translation can contribute to society, especially focusing on possibilities of developing contents for cultural enterprises. It also selects several Chinese classics and practice to develop contents for cultural enterprises from them.

 

문헌 DB 정보화론

한문 고전 관련 자료와 번역을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실제로 연습한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이미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한문 고전 관련 DB자료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서 출발하여, 온라인 서비스의 프로세스 전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미 온라인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싸이트의 구조와 성격을 이해하고, 사회적 활용 가능성이 높은 자료의 선택 및 정보화가 이루어지는 적절한 방향을 찾는다.

Information Resources of Archival Database;
This course examines online databases for Chinese classics and their translations. First it explores the databases already available online and examines the entire process of online service for the database. It studies several websites which are now providing online services, and discusses their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It discusses proper ways for selecting materials and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매체론과 문화콘텐츠

문자 기록물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는 한문 고전의 영역을 매체론적 시각에 입각해서 확장하는 과정을 통해 문화콘텐츠적 요소를 재발견하고 새로이 창출하도록 한다. 문자 기록물로서만 한문 고전을 이해하지 않고, 매체로서 지니는 다양한 물질적 측면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번역’의 의미 외연을 확장한다. 종이, 제책, 형태, 그림 등등 문자적 의미만으로는 포착되지 못하고, 또 번역될 수 없는 측면들에 주목함으로써, 비언어적 표현의 언어적 번역 능력까지도 함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궁극적으로 한문 고전과 현대의 매체 상황이 순조롭게 결합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도록 한다.

Media Theory and Cultural Contents;
This course discusses how to develop contents for multi-media and cultural enterprises from Chinese classics. It discusses how to develop our understanding of Chinese classics something beyond written materials, and find various values and meanings in the texts. It helps improve our capabilities to utilize the classics for contemporary multi-media and cultural industry.